수광소자 = 빛 에너지를 전기 에너지로 변환시켜 주는 것. 즉, 빛을 받으면 전기 흐름이 바뀌는 것


화소(점)란 Red 수광센서(빨간색에만 반응하는 센서), Green 수광센서, Blue 수광센서가 모여서 1개의 화소를 이룬다. 각 색 소자당 256가지(8bit)의 빛 에너지를 검출 할 수 있으므로(왜? 1Byte로 진폭을 쪼개서..) 1화소는 24bit의 값을 가진다. 그리고 각 수광센서 1개당 ADC가 필요하다.


재밌는 이야기로 디지털 공부하기

디지털 카메라는 현실을 어떻게 캡쳐할까?

720p = HD, 1080p = Full HD

1920*1080(1080p, 가로*세로 점 개수) = 2,073,600개의 점

FHD의 사진 한 장이 갖는 용량 = 3*2,073,600 = 약 5.93Mbyte


FHD의 동영상 용량

사진 1장은 약 6메가바이트

6*20(20프레임이라고 가정) = 120Mbyte/sec = 7200Mbyte/min = 43200Mbyte/hour

약42Gb(1시간 동영상 용량) 근데 이건 사운드 용량은 빠진 것..

사운드도 포함한다고 하면 42+0.65Gb = 약42.65Gb

Posted by 知彼知己百戰不殆
,

실행파일(.exe)의 모양

실행파일을 더블클릭하거나 Enter하면 -> 로더가 메모리에 프로그램을 옮겨줌(하드->메모리)

컴파일 시 메모리에 올라가므로 펌웨어 코드를 최적화 해야 메모리를 적절히 사용 가능.


MCU = 여러가지 기능을 함, 한 꺼번에 집어 넣음


Posted by 知彼知己百戰不殆
,

전압의 기준점: GND

GND가 변하면 전압의 측정값이 변한다. GND는 보통 지구를 기준으로 한다.



RC: 저항(Resistence) + 커패시터

RC회로 조합= 주파수 생성 가능(저주파)

oscillator: CPU를 동작시킴, 주파수 생성기(발진기)

RC-oscillator: 내부적으로 돌리는 주파수 생성, 속도가 늦다 (ex. 엘리베이터)

Crystal oscillator: 외부 발진기, 속도 빠름

위 두개의 oscillator은 특정 주파수를 계속 생성해내는 것들.


Watchdog(워치독): CPU 리셋하는 회로가 있음. OS가 제대로 작동을 못 하면 스스로 재부팅하는 기능. 리셋기능이 있는 타이머라서 OS가 제대로 작동을 하는 지 수시로 확인. 만약 OS가 제대로 작동을 못 해서 타이머 리셋을 못하면 재부팅된다.


Brown-out 상황: 정상작동 전압 이하로 떨어졌을 때 CPU가 오동작하는 현상. CPU는 작동을 안 하는데 CPU 주변 장치들이 움직이거나 하는 상황.

BOD = Brown Out Detection: Brown-out 상황을 방지해주는 기능. 특정 전압 이하로 떨어지면 CPU를 재부팅 시켜준다.


Interrupt 함수: 하드웨어 외부에서 신호가 오면 불리거나 내부에서 불리는 함수. 일반적인 함수가 의도적 호출이라면 Interrupt 함수는 OS가 알아서 불러주는 함수.

ISR = Interrupt Service Routine: 인터럽트 서비스를 제공하는 코드. 인터럽트가 들어왔을 때 처리하는 일 목록.

Posted by 知彼知己百戰不殆
,